Pro Digital Solution

home HOME  >  기술자료  >   활용사례

활용사례

SLA 3D프린터를 활용한 스탠드 제작
2020.04.09 15:49



피디에스(PDS)3D프린터를 활용하여 수많은 시제품 제작을 하는 최신 선진기업입니다.


이번 조명제작은 SLA 방식 3D프린터를 사용하여 제작한 조명을 소개하겠습니다.



 
3739838448_4Dxrb178_KakaoTalk_20200317_204703150EC9E90EBA684.jpg



스탠드 갓의 크기는 200mmx230mmx330mm로 멀리서 봤을 땐 단순한 꽃잎 형태로 보이지만


5mm 크기의 영어(P, D, S) 형태의 솔리드를 기울기와 크기를 변경시킨 후


반복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습니다.

 




파츠.JPG




해당 파츠 수백 개를 형상에 맞게 배열하였고 최대한 서포터가 생성되지 않게


40~50도 범위에 배치하여 재료를 절약하고 후처리에 사용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였습니다.

 




전체.JPG



이러한 형태는 CNC 등 다른 제조 방식으로는 제작 불가능하거나 높은 비용을 요구하지만


 3D프린터에서는 정확하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.


조명제작에 사용된 3D프린터는 유니온테크(UnionTech)Lite 800으로


최대 800mmx800mmx550mm까지 제작 가능합니다.


출력 재료는 EVOLVE을 사용하여 유백색을 띠고 있고


빛을 자연스럽게 차단해 줍니다.

 




234r.jpg



3D프린터에서 나온 조명을 알코올로 깨끗이 세척한 후


UV 라이트를 약 10분간 쐬어 경화시켜 주면


일상생활에도 사용해도 될 정도의 단단함을 가지게 됩니다.

 



KakaoTalk_20200409_152835349_03.jpg



만약 다른 색상의 조명을 계획 하고 있으면 이후 도색을 하면 쉽게 다른 색상의 조명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


이렇게 UV 라이트 작업까지 완료된 스탠드갓을 스탠드에 설치하면


불을 켜지 않아도 훌륭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
 



KakaoTalk_20200409_152835349_02.jpg



추가적으로 제작한 조명 크기를 변경시켜 탁상조명으로도 제작하였습니다.


이때 기존 설계했던 크기, 두께가 달라졌기 때문에


슬라이싱툴에서 서포터의 위치를 다시 한번 확인해봐야 출력 중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

이번 출력에 사용된 프린터는 유니온테크(UnionTech)Lite 800과 에이치피(HP)MJF 4200을 사용했습니다.

 



KakaoTalk_20200409_152835349_04.jpg




PDS에서는 수많은 제품의 출력과 자체 디자인, 연구를 진행하여 매일매일 발전해나가고 있습니다.



앞으로도 더욱 더 노력하는 PDS가 되겠습니다.


감사합니다. 


 




KakaoTalk_20200409_152835349_01.jpg